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첫 번째 주제 갈까요? <br><br>'의원님 방 빼세요' 이렇게 제목을 달았습니다. <br> <br>먼저 오늘 오전 새로운보수당 회의에서는 이런 얘기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하태경 / 새로운보수당 의원 <br>금태섭 의원을 보면서 저는 지난 국회의 옆에 계신 유시민 <br>아, 유승민 <br> <br>유승민 / 새로운보수당 의원 <br>왜 하태경 위원장께서 농담을 하시는지 다음부터는 특히 조심해주시고 <br> <br>하태경 / 새로운보수당 의원 <br>금태섭 의원을 보면서 유승민 대표를 떠올렸습니다. 공수처법 기권한 금태섭 의원 겁박하는 민주당은 '더불어독재당' 하겠다는 것입니까.<br> <br>Q. 유시민, 유승민. 이름을 헷갈려하면 서로 싫어할 만한 사이죠? <br><br>오늘 유승민 의원은 하태경 의원이 실수를 하자 "15년 전 유시민 이사장을 처음 만났을 때 진보의 참 괜찮은 사람이다, 이렇게 생각했는데, 조국 사태를 거치면서 그 사람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접었다" 이런 표현까지 썼습니다. <br> <br>자신과 헷갈리는 게 그만큼 싫다는 의미겠죠. <br> <br>Q. 그런데 하태경 의원은 왜 금태섭 의원을 보면서 유승민 의원을 떠올렸다는 건가요? <br><br>유승민 의원도 지난 정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'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다' 이렇게 반기를 들었다가 2016년 공천에서 탈락했는데, 당에 반기를 든 금태섭 의원 상황이 당시와 비슷하다고 본 거죠. <br> <br>Q. 어제 금 의원이 공수처 설치안에 기권표를 던지면서 힘든 상황에 처했다면서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<br>그 후폭풍으로 금태섭 의원은 하루 종일 악플에 시달렸는데요, 매국노라는 비난부터 당신만 소신이 있느냐, 민주당에서 방 빼라, 이런 공격이 이어졌습니다. <br><br>더욱이 당 대변인까지 당론을 어긴 데 대해 유감이라면서 징계를 검토하겠다, 이런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Q. 금 의원은 꾸준히 공수처 설치에 반대해왔잖아요. <br><br>그렇죠. 조국 전 장관 인사청문회 때도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밝혔었죠. <br> <br>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9월) <br>권력기관은 제대로 제어하지 않으면 계속 권한을 행사하려고 듭니다.공수처를 설치한다거나 현재의 수사권 조정안에 비판적인 입장인 것이 그 때문입니다.<br> <br>개별 헌법기관이라는 국회의원의 소신과 당론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 게 바람직할까요? <br> <br>분명한 건 다양한 의견 존중이 민주주의의 핵심이라는 사실은 교과서에도 나오는 얘기입니다. <br> <br>Q. 그러게요. 단 한 명 기권했는데 그것도 못 참아주네요. 다음 주제 갈게요. <br><br>'대통령의 놀라운 혜안?' 이렇게 제목을 붙였습니다. <br> <br>야당 의원들, 어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에 단단히 화가 났습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이 모든 게 국회 탓이다, 이런 인식을 드러냈는데,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닮았다는 겁니다. <br><br>얼마나 싱크로율이 높은지 저희가 확인해봤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 (어제)<br>국회에 간곡히 요청드립니다. 이제 볼모로 잡은 민생경제 법안을 놓아주길 바랍니다.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(2015년 11월)<br>이것은 국민들의 삶과 대한민국 경제를 볼모로 잡고 있는 것… <br> <br>문재인 대통령 (어제) <br>식물국회라는 오명을 얻었고, 동물국회를 막기 위해 도입된 국회선진화법까지 무력화되는 볼썽사나운 모습이 재연되고…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(2016년 1월) <br>그때는 동물국회였는데 지금은 식물국회가 됐다. 어떻게 보면 이 선진화법을 소화할 능력이 안 되는 결과라고… <br> <br>Q. 두 대통령 모두 정부가 일하려고 하는데 국회가 안 도와준다, 이런 시각인거죠? <br><br>국회를 싸잡아 비판했지만 실은 야당이 국정의 발목을 잡고 있다, 이런 얘기인데요, <br> <br>화가 난 정병국 의원은 4년 전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표의 성명 내용을 소환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문재인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회 탓을 하자 이런 말을 했습니다. <br> <br>새누리당 배후에 있는 대통령이 문제다. 대통령은 '국회 탓'할 자격이 없다. <br><br>정병국 의원은 이 발언에서 새누리당을 민주당으로, 대통령을 박 전 대통령이 아닌 문 대통령으로 바꿔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, 이렇게 받아쳤습니다. <br> <br>정병국 / 새로운보수당 의원 <br>4년 전의 글이지만 어찌 지금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해서 미리 문재인 대통령이 그(국회 파행의) 답까지 주고 갔는지 참 그 혜안이 놀라울 따름입니다.<br> <br>Q. 혜안이 놀랍다면서 비꼰 거네요. 정권이 바뀌어도 국회를 보는 대통령의 시각이 같은 건 왜일까요? <br><br>임기 중반에 접어들면 모든 대통령이 성과를 내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는데, 성과 내기가 쉽지 않으니 야당 탓을 하는 거겠죠. <br> <br>그래서 집권 3년차 증후군이라는 말도 있는데, 현 정권이 전 정권을 닮아간다고 말한 사람은 또 있습니다. <br> <br>진중권 전 교수인데요, 현 정부 청와대 내부에서부터 문제가 터져나오고, 민정수석실이 그걸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전 정부를 그대로 닮아가고 있다면서 집권 3년차 데자뷔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,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한마디는 새해 온 국민의 소망을 담아 '새해엔 정부 덕, 국회 덕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네, 촌철살인이 담긴 여랑야랑, 내년에는 더 재미있어집니다. 이재명 기자 올해 수고했습니다.